I see painting as an imaginary space where you can meet lost loves. The process of painting to me is regarded as a ritual ceremony for mourning and recalling the dead. I take inspiration from 'Gijesa', a spiritual ritual practiced in Korea as a way for Koreans mourn for the deceased. It is a Confucian memorial rite held to honour the ancestors at the earliest hour on the anniversary of their death with food offerings prepared the day before.


Regarding that, I repeatedly portray dining scenes, thus consider myself as a host who invites and prepares to meet them. I further represent myself within the canvas as a figure of multiple forms. I see my feelings as edible, I cook and serve them in the form of food - hoping that by consuming me, the food, I can expel a feeling of myself that becomes a part of them.


They, my figures, become represented as a rebellious force unlike traditional sacrifices. For instance, there are scenes of them sailing soup, eating salts of tears, staring reflection of a spoon, and pouring out tears from a glass. And it is a passive aggressive protest in order to cause a delay in dinner. As the host and sacrifices at the same time, I keep interrupting the dinner through unconventional means wishing this gathering never ends, therefore guests cannot leave.



나는 그림을 잃어버린 사랑을 만날 수 있는 상상적인 공간으로 본다. 나에게 그림을 그리는 과정은 지나간 것들을 애도하고 회고하는 의례로 여겨진다. 나는 한국인들이 고인을 추모하는 방법으로, 한국에서 행해지는 영적 의식인 '기제사'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는 유교적인 추도 방식으로, 조상의 기일에 전날 준비한 음식으로 가장 이른 시간에 조상을 기리고 대접하는 제사다.


그런 점에서 나는 식사 장면을 반복적으로 그리며 그들을 만나기 위해 초대하고 만찬을 준비하는 주인이라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나는 다양한 형태의 형상으로 캔버스 안에서 나 자신을 표현한다. 나는 감정이 인식되기 보다는 감각되기를 희망하면서 감정을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음식의 형태로 요리하고 대접한다 - 음식이 되어 버린 마음이 손님에게 먹힘으로써 그들의 일부가 되고, 자극으로서 지각되기를 바라면서.


수프를 젓는 장면, 눈물의 소금을 먹는 장면, 거울에 비친 숟가락을 응시하는 장면, 잔 속 눈물을 쏟아내는 장면 등을 통해 알 수 있듯, 내 그림 속 인물들은 전통적인 제물과는 달리 반항적인 세력으로 표상된다. 그리고 이것은 저녁 식사를 지연시키기 위한 소극적인 공격적 시위로 읽을 수 있다. 저녁식사에 사랑하는 이들을 초대한 주인이자 동시에 제물인 나는 이 모임이 끝나지 않기를 바라며 비관습적인 방법으로 만찬을 지속적으로 방해하고 있다.